信心銘(사상과 명언)/불교교리와 불교문화

[스크랩] 사찰

서울문화 2010. 5. 5. 22:37
 

 

사찰


  삼국시대에 불교가 우리나라에 들어온 이후 곳곳에 지어진 많은 절들은 우리의 역사와 지금까지 함께 해 왔습니다. 지금도 역사적인 많은 사료가 우리 것의 아름다움을 소중히 간직하고 있습니다.

절은 불제자들이 부처님의 가르침을 좇아 불도를 닦고 불법을 널리 전파하는 장소입니다. 절 구경을 떠나기 앞서 몇 가지 용어를 알아보도록 합시다.

  절을 한자로는 사(寺)라 부른다. 중국에 불교가 전래될 때(漢) 중국을 방문하는 인도승을 머물게 하던 관청이 홍로시(鴻盧侍)라는 관청이 있었는데 후에 관청과 구별하기 위해 '시'를 '사'로 구별해서 부르게 되었다.

우리말로 '절'이라 부르게 된 연유는 신라에 불교가 전해질 때 아도 화상이  '모례(毛禮)의 집'에 숨어 지냈는데 '모례'는 우리말로 '털례'이고 '털'이 '덜'로 바뀌고 다시 '절'로 되었다는 설과 절을 많이 하는 곳이기 때문에 '절'이라 부르게 되었다는 설이 있다.

  

<우리 나라의 삼보사찰>


  우리 나라에서는 예로부터 삼보사찰(三寶寺刹)이라 하여 통도사와 해인사, 송광사를 신앙의 근본이 되는 사찰로 존중하여 왔다.    

  첫째로 불보(佛寶)사찰은 신라시대 자장스님에 의하여 부처님의 진신사리가 봉안된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적멸보궁이다. 말하자면 부처님의 진신을 모신 사찰이라는 뜻에서 불보사찰이라고 하는 것이다.

  둘째로 법보(法寶)사찰 해인사는 세계의 문화유산인 고려 목판팔만대장경을 봉안하고 있는데 부처님의 가르침을 모셨다는 의미에서 법보사찰의 위치에 놓이게 되었다.

  세 째로 승보(僧寶)사찰인 송광사는 고려시대 이후 16국사가 배출된 승가의 대표적 사찰로써 우리나라 최고의 승보사찰로 숭앙되어 왔다.

   1) 요 사

  절에서 승려들이 사는 집으로 불사(佛事)를 관리하고 수행자들의 의식주를 뒷받침 해주는 생활공간이며 휴식처이다. 즉 승려들이 먹고 자고 빨래하고 목욕하고 배설하는 따위의 일상 생활을 하는 집을 요사(寮舍)라 한다.

   2) 가 람

  범어의 Sangarama에서 비롯된 말로써 많은 승려들이 모여 불도를 수행하는 장소, 곧 중원의 의미를 지니고 있고 이를 한역하면 승원이 된다. 가람배치의 발전 과정은 처음에 승방(승원)이 생겼고 다음에 탑, 그 후에 불당이 세워졌다. (승방→탑→불당)

※ 그런 측면에서 가람의 구성을 크게 보면 예배원과 요사(승원, 승방)로 구성된다.

가람(伽藍) = 예배원(禮拜院) + 요사(寮舍)  탑  금당(불당)

  3) 가람 배치

  삼국시대 이후의 우리나라 역사를 연구할 때 가람 배치는 중요한 시간적인 지표가 된고 있다. 그것은 각 시대마다 가람배치 형식이 조금씩 다르기 때문에 남아있는 절터에서 발굴된 유물의 시기를 가람 배치 형석에 견주어 추정할 수 있는 것이다. 가람배치의 큰 변화는 금당과 탑의 변화라 할 수 있다. 불교 초기에도 그랬지만 삼국시대 초기에는 주 경배 대상이 탑(목탑)이었으나 차츰 탑에서 금당으로 중심 축이 바뀌면서 조선시대에 오면 탑은 단순히 장식적인 구조물로 되어 버린다. 각 시대의 가람 배치 모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가. 고구려 사찰

  중앙에 8각 목탑을 세우고 그 동쪽과 서쪽 그리고 북쪽에 금당을 세채 배치하고 남쪽에 떨어져서 문을, 그리고 북쪽 금당 뒤편에 강강과 부속 건물을 세웠다(이상 평야 청암리 사지 상오리 사지, 정릉사지)

나. 백제, 신라의 사찰

  탑과 금당 및 강당을 일직선상에 배열한 형식이었고 앞면의 중문(또는 남문)으로부터 강당까지를 대체로 축선에 맞추어 배치하고 회랑을 둘러서 성역을 이루었다. 또 회랑 밖 강당 뒤쪽과 좌우 옆 쪽에 승방 등의 부속 건물을 세워 성역과 일반 사역을 구분하였다. 후기로 가면서 목탑은 석탑으로 바뀌고 탑 뒤에 금당이 한 채(一金堂)로부터 나란히 세채가 들어서기도 한다.(황룡사 창건가람)


<가람에서 통과하는 문>

 

  1) 일주문

  절을 찾을 때 가장 먼저 마주하게 되는 문이 바로 일주문이다. 일주문은 일직선 기둥 위에 지붕을 얹어 만든 건축물로 불료에서 일심(一心)을 상징한다. 즉 신성한 사찰로 들어서기 전에 세속의 번뇌로 흩어진 마음을 하나로 모아 진리의 세계로 향하라는 의미를 담고 있다.

  2) 피안교

   그곳은 아무런 고통과 근심이 없는 불․보살의 세계이다. 따라서 피안교란 열반의 저 언덕에 도달하기 위 해 건너는 다리를 뜻하고 있다. 말하자면 우리들이 사찰에 갈 때 피안교를 건너는 것은 세속의 마음을 청정하게 씻어버리고 이제금 진리와 지혜의 광명이 충만한 불․보살님들의 세계로 나아간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런 만큼 불자들은 스스로의 마음가짐을 돌이켜 보는 경건한 자세가 필요하다 하겠다.

3)금강문

  금강문은 사찰에 따라 인왕문이라고도 하는데, 부처님의 가람과 불법을 수호하는 두 분의 금강역사가 지키고 있는 문이다. 그 가운데 왼쪽을 지키고 있는 분은 밀적금강이고 오른쪽을 지키고 있는 분은 나라연금강이다. 밀적금강은 입을 벌리고 있고 나라연금강은 입을 다물고 있어 합쳐서 우주만물의 처음이자 마지막을 상징하는 신성한 진언인 옴( )을 나타내고 있다. 이들은 제각기 상체를 벗어 젓힌 채 손에는 금강저를 들고 매우 역동적인 자세들을 취하고 있는데, 이것은 불법을 훼방하려는 세상의 사악한 세력을 향해 경계하는 의미를 담고 있다. 

  4) 천왕문

  불교의 수호신 역할을 하는 금강역사와 사천왕을 모셔둔 전각을 천왕문이라 한다. 금강역사는 절을 지키는 수문장 역할을 한다. 우리 나라에 남아있는 금강역사 중에서도 석굴암의 석굴을 지키고 있는 금강역사가 유명하다. 동,서,남,북 사방을 지키는 사천왕 상은 각각 방위에 따라 색깔과 모습을 달리한다. 피안이란 온갖 번뇌에 휩싸여 생사윤회하는 고해의 이쪽 언덕 건너편에 있는 저 언덕을 이야기한다.

방 위

이    름

오른손

왼손

피부색

얼굴특징

역     할

지국천왕

주먹

청색

다문 입

선한 이에게 복, 악한 자에게는 벌을 줌

증장천왕

여의주

적색

노란 눈

만물을 소생시키는 덕을 베품

광목천왕

삼지검

백색

벌린 입

악인에게 고통을 주어 도심을 일으키게 함

다문천왕

비파

비파

흑색

치아보임

어둠속을 방황하는 중생제도


5)불이문(不二門)

  천왕문을 지나 절 경내로 들어서는 문이 불이문이다. 불이는 불교에서 해탈의 경지를 뜻한다. 그래서 해탈문이라고도 한다.  즉 이 문을 들어서면 속세와 구별되는 부처의 세계로 들어선다는 것을 의미한다.  현판을 불이문이라고 하지 않고 다른 이름으로 하는 경우도 있는데 불국사의 불이문에 해당하는 자하문의 의미를 살핀다면 불이문을 더 잘 이해 할 수 있다.

※자하문(紫霞門)-불국사 청운교, 백운교 33계단 위에 있는 불이문이다. 자하문을 우리말로 옮기면 '자줏빛 안개가 서려 있는 문'이라는 뜻으로 자줏빛은 부처님을 의미한다. 저만치 대웅전으로부터 부처님의 기운을 어렴풋이 나마 느낄 수 있는 위치에 있음을 말한다.


<절에서 만나는 4가지 악기>

 

  보통 불이문을 들어서면 왼편으로 범종각이 보인다. 범종각은 범종하나만 있는 경우도 있지만 웬만큼 큰 절에는 범종각 안에 범종, 외에 법고, 목어, 운판 이렇게 네가지 악기를 한 자리에 모아 놓는다. 이 네 가지 악기는 각기 독특한 불교의 의미를 담고 있다.

출처 : 고인돌 연구
글쓴이 : 경기지역 고인돌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