易의 해석법에는
易의 64卦는 漢字의 뜻글과 매우 비슷해서 보는 사람의 식견이나 바라보는 관점에 따라서 그 의미를 달리하고 있다. 그러나 지켜야 할 한 가지는 易이란 에너지의 흐름으로 반드시 한 쪽 방향성을 가진다.는 것이 흩어지면 안 되나 그 바라보는 방향은 대략 아래와 같다.
먼저
1) 단(彖=8x8=64彖)을 무조건 암기하라. (彖; 결단할 단)
元. 亨. 利. 貞으로 해석되어있는 彖을 먼저 암기해 두어야 한다.
2) 8卦의 상(象; 유형의 상; 하늘을 기준)으로 해석
반드시 상괘(上卦; 天)를 먼저, 하괘(下卦; 地)를 다음 순서로 해석한다.
3) 8卦의 형(形; 무형의 상; 자신을 기준)으로 해석
반드시 하괘(下卦; 자신)를 먼저, 상괘(上卦; 상대)를 다음 순서로 한다.
4) 陰陽五行의 상관관계로 해석
(1) 同一한 五行의 相生은 上卦가 天陽, 下卦는 地陰이 순리이다.
(2) 同一한 五行의 相生에서 陰陽이 중복되는 것은 강조의 의미이다.
(3) 不同한 五行의 相生이란 下卦가 원하는 대로 上卦가 주는 것이다.
(4) 五行의 相剋이란 上卦의 명령에 下卦는 복종하는 것을 의미한다.
5) 관점전환으로 보는 법
(1) 変化를 예고하는 之卦를 알아본다.
(2) 本卦에서 之卦가 되는 과정(내부갈등)을 알기 위해 互卦를 찾아본다.
(3) 內互(내 쪽 내부변화)卦와 外互卦(상대 쪽 내부변화)를 짐작해 본다.
(4) 자신의 오만함을 비춰(1인칭)보는 부도전(不倒顚)卦를 찾아본다.
(5) 상대편(2인칭)과 입장을 바꿔보는 착종(錯綜)卦를 찾아본다.
(6) 반대편(3인칭)에서 바라보는 도전(倒顚)卦를 찾아본다.
(7) 역(逆)발상의 전환을 위한 배합(配合)卦로 바꾸어 본다.
(8) 복희(伏羲)先天64卦로 발생 시기(時期)와 다음에 일어날 미래(未來)卦를 예측 해 볼 수 있을 만큼 사상(事象)을 관찰할 수 있는 것으로는 역(易)보다 좋은 것은 없다고 단언할 수 있다.
다음은 위의 하나하나를 다시 설명 해 보도록 하자.
'信心銘(사상과 명언) > 유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천자문 (0) | 2015.07.09 |
---|---|
[스크랩] 元. 亨. 利. 貞이란 무엇인가? (0) | 2015.06.05 |
[스크랩] 易의 해석 (0) | 2015.06.05 |
[스크랩] 역(易)을 공부하는 법 (0) | 2015.06.05 |
[스크랩] 입교편에서 (가르침을 세우는 글) (0) | 2014.10.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