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크랩] 元. 亨. 利. 貞이란 무엇인가? <文言傳에 나타나는 元. 亨. 利. 貞> 文言에 이르기를 “元이란 善을 으뜸으로 하며, 亨이란 아름다움(嘉)을 다 모은 것 같이 하고 利란 義理에 和合해야하며, 貞이란 바름을 알아(智) 굳게 주장하는 것이라.” 그러므로 역(易)에서는 元=仁. 亨=禮. 利=義. 貞=智의 행함을 사덕(四德)이라.. 信心銘(사상과 명언)/유학 2015.06.05
[스크랩] 易의 해석법에는 易의 해석법에는 易의 64卦는 漢字의 뜻글과 매우 비슷해서 보는 사람의 식견이나 바라보는 관점에 따라서 그 의미를 달리하고 있다. 그러나 지켜야 할 한 가지는 易이란 에너지의 흐름으로 반드시 한 쪽 방향성을 가진다.는 것이 흩어지면 안 되나 그 바라보는 방향은 대략 아래와 같다. .. 信心銘(사상과 명언)/유학 2015.06.05
[스크랩] 易의 해석 易의 해석 (1) 下卦에서 上卦로 올라가는 것을, 上卦에서 下卦로 내려오는 것보다 먼저 해석해야 한다. (2) 爻가 動하여 上卦나 下卦의 中(2陰, 5陽)을 얻었을 때는 陰陽을 가리지 않고 中을 얻은 卦를 먼저 해석한다. (3) 초효가 陽이면 외괘로 陰이 들어오고 내괘에서 陽이 나가나, 초효가 .. 信心銘(사상과 명언)/유학 2015.06.05
[스크랩] 역(易)을 공부하는 법 역(易)을 공부하는 법 易을 강의한다고 하면 사람들의 첫 물음은 점서(占書)를 강의하는 줄로 대부분이 생각하고 있다. 그들의 첫 질문으로 易이란 무엇인가? 하고 찾아보면 “쉬울 역(易)”이란 글자를 풀이하며 쉽다고들 말하는데 막상 동양학을 공부해 보려면 (1)어디서부터 어떻게 해.. 信心銘(사상과 명언)/유학 2015.06.05
[스크랩] 입교편에서 (가르침을 세우는 글) 孔子三計圖云 一生之計는 在於幼하고 一年之計는 在於春하고 一日之計는 在於寅이니 幼而不學이면 老無所知요 春苦不耕이면 秋無所望이요 寅苦不起면 日無所辦이니라 (공자삼계도운 일생지계는 재어유하고 일년지계는 재어춘하고 일일지계는 재어인이니 유이불학이면 노무소지요 .. 信心銘(사상과 명언)/유학 2014.10.14
[스크랩] 사자소학 다지기 사자소학 효행편 충효편 제가편 형제편 사제편 경장편 붕우편 수신편 사자소학<四字小學> 사자소학은 주희의 소학과 기타 여러 경전의 내용을 알기 쉽게 생활한자로 편집한 한자학습의 입문서로써, 옛날에 서당에서 공부하는 아이들이 가장 먼저 배우는 한자의 기초 교과서이다. 사.. 信心銘(사상과 명언)/유학 2014.10.14
[스크랩] ?도덕경(道德經) 도덕경(道德經) 제1장 - 말로 표현할 수 있는 도는 불변의 도가 아니다 道可道, 非常道. 名可名, 非常名. 도가도, 비상도. 명가명, 비상명. 無名, 天地之始. 有名, 萬物之母. 무명, 천지지시. 유명, 만물지모. 故常無欲以觀其妙. 常有欲以觀其. 고상무욕이관기묘. 상유욕이관기. 此兩者, 同出.. 信心銘(사상과 명언)/유학 2013.10.28
[스크랩] 사서삼경중 중용 원문과 해석 사서삼경중 중용 원문과 해석 중용장구 ( 中庸章句 ) 제 1 편 도와 중용 ( 道 中庸 ) ♣ 본래 장명(章名) 없이 33장으로 이루어진 중용장구는, 편명(篇名)과 장명을 책에따라 있는 것도, 없는 것도 있어 이해를 돕기 위해 각명칭을 기입한다. 장에 따라 긴 문장도 있고 한줄 짜리 문장도 있다 (.. 信心銘(사상과 명언)/유학 2013.10.28
[스크랩] 중용해석(中庸 解釋) 中庸 解釋 中,01章,01 天命之謂性 率性之謂道 修道之謂敎 중,01장,01 천명지위성 솔성지위도 수도지위교 하늘이 명한 것, 이를 성이라 부른다. 성에 따르는 것, 이를 도라고 부른다. 도를 닦는 것, 이를 교라고 부른다. 中,01章,02 道也者 不可須臾離也 可離 非道也 是故君子 戒愼乎其所不睹 .. 信心銘(사상과 명언)/유학 2013.10.28